사실 독립을 하기로 마음을 먹고
구체적으로 준비를 하다 보면
여러가지 걱정들이 동시다발적으로, 꼬리에 꼬리를 물고
찾아온다
지난번 글에서 말했던 가장 일반적이면서도 근본적인 의문이
마음속에서 정리가 되었다고는 해도 여전히 많은 걱정과 망설임이 남는다
나에게 있어 오늘 두번째로 꼽고자 하는것은 다음과 같다.
현재 사무소에 있으면서 어쨌든 다양한 규모와 프로그램의 프로젝트를 다루어 왔다.
비록 한국처럼 단지 전체를 개발하는 아파트 프로젝트의 규모는 아니었지만
집합주택단지부터, 학교, 오피스, 공장, 대사관, 아트센터, 작은 개인주택까지(개인주택은 아주 잠시만 했었지만)
이러한 다양한 프로젝트들의 경험은 나에게 굉장히 중요한 자양분이 되었다.
하지만 독립을 하게되면
아무래도 프로젝트의 규모나 종류가 굉장히 영세해 질 수 밖에 없을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가장 먼저 할수있는건 개인주택일 것이고 그 다음으로도 가능성이 있는 것 또한
규모나 종류에서 한계가 있을 거라는 걱정이었다.
혹시 이러한 변화가 지금의 내 나이를 한참 이것저것 닥치는 대로 경험하고 배워가야할 시기라고
봤을때 개인적으로 현재 가진 좋은 기회를 버리는 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들었다.
그리고 이러한 걱정은 좀더 발전하여
자칫 독립후에 혹시나 이러한 이유로인해 발전이, 성장이 멈추거나 더뎌지는 건 아닐까 하는
걱정으로 이어졌다.
즉, 혹시나 우물안에 갇혀 자극과 변화없이 개구리가 되는건 아닐까 하는 걱정.
그런 의미에서 돌이켜봤을때 현재의 암스테르담 사무소의 환경은 나를 항상 불편하게 하는,
즉, 자극되게 만드는 훌륭한 환경임에는 틀림이 없었다.
(물론 지금 자세히 쓰기는 애메하지만 이러한 자극도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무뎌지는 걸 느끼기도 하고
자극을 내가 어떤 포지션에 있느냐에 따라 100%, 혹은 10%, 즉 얼마나 받아들이고 내것으로 만드느냐가
달라진다고 생각을 한다)
어쨌든 불행하게도 아직 이 '하면 안된다고 생각했던 두번째 이유' 에 대한 만족할 만한 대답이나 해결책은 찾지 못했다.
물론 개인적으로 한국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대형프로젝트들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지도 않고
그걸 다루기 위해 많은 인원으로 이루어진(특히나 상하가 꽤나 엄격한)조직에서 일을 하고 싶은
생각도 별로 없지만, 내가 다루어보지 못한 큰 규모의 프로젝트를 해보는 것에 대한
일종의 미련은 갖고 있다.
분명 내가 모르는, 경험해 보지 못한, 내가 했던 것과는 다른 규모와 접근방식을 요구하는 디자인이
있을 거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아마도 이 문제는 한국의 대형사무소에서, 주로 대규모 프로젝트만을 다뤄온 J 에게서 이에 대한 의견을
들을 수 있다면 좀더 나은, 명쾌한 얘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어쨌든 그래서 내가 이 시점에 이 문제에 대해 생각하고 있는 해결책들은
조금 막연하고 형태가 없다
다만 아마도 사무소의 형태나 성격을 다른 집단, 혹은 개인과 어떤식으로든, 언제든 함께 의견을
나누고 함께 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을 수 있도록 유연하게 유지하는 것과
현재 우리가 알고있는, 이미 자리를 잡으신, 비교적 큰 규모를 다룰 위치에 계신 건축가 분들과
기회가 되는데로 함께 프로젝트를 하는 것 등등이 해결책이 되지 않을까 싶다.
(물론 이건 어디까지나 아직은 김치국물 마시는 얘기다)
이 해결책들은 우리가 앞으로 최소 1년여의 시간동안 여러가지 방법을 시도해 보고 찾아본 후에
그 결과를 가지고 1년후쯤에 다시금 얘기를 할 계획이다
어쨌든 이 문제는 J 와, 더 넒게는 주변의 선배님, 교수님, 소장님들과 더 논의가 되어야하는 부분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고, 또한 건축가로 살아가며 평생을 고민해야 하는 부분이 아닐까 하고 생각한다.
111207 한국가는 비행기 안에서 Y
구체적으로 준비를 하다 보면
여러가지 걱정들이 동시다발적으로, 꼬리에 꼬리를 물고
찾아온다
지난번 글에서 말했던 가장 일반적이면서도 근본적인 의문이
마음속에서 정리가 되었다고는 해도 여전히 많은 걱정과 망설임이 남는다
나에게 있어 오늘 두번째로 꼽고자 하는것은 다음과 같다.
현재 사무소에 있으면서 어쨌든 다양한 규모와 프로그램의 프로젝트를 다루어 왔다.
비록 한국처럼 단지 전체를 개발하는 아파트 프로젝트의 규모는 아니었지만
집합주택단지부터, 학교, 오피스, 공장, 대사관, 아트센터, 작은 개인주택까지(개인주택은 아주 잠시만 했었지만)
이러한 다양한 프로젝트들의 경험은 나에게 굉장히 중요한 자양분이 되었다.
하지만 독립을 하게되면
아무래도 프로젝트의 규모나 종류가 굉장히 영세해 질 수 밖에 없을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가장 먼저 할수있는건 개인주택일 것이고 그 다음으로도 가능성이 있는 것 또한
규모나 종류에서 한계가 있을 거라는 걱정이었다.
혹시 이러한 변화가 지금의 내 나이를 한참 이것저것 닥치는 대로 경험하고 배워가야할 시기라고
봤을때 개인적으로 현재 가진 좋은 기회를 버리는 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들었다.
그리고 이러한 걱정은 좀더 발전하여
자칫 독립후에 혹시나 이러한 이유로인해 발전이, 성장이 멈추거나 더뎌지는 건 아닐까 하는
걱정으로 이어졌다.
즉, 혹시나 우물안에 갇혀 자극과 변화없이 개구리가 되는건 아닐까 하는 걱정.
그런 의미에서 돌이켜봤을때 현재의 암스테르담 사무소의 환경은 나를 항상 불편하게 하는,
즉, 자극되게 만드는 훌륭한 환경임에는 틀림이 없었다.
(물론 지금 자세히 쓰기는 애메하지만 이러한 자극도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무뎌지는 걸 느끼기도 하고
자극을 내가 어떤 포지션에 있느냐에 따라 100%, 혹은 10%, 즉 얼마나 받아들이고 내것으로 만드느냐가
달라진다고 생각을 한다)
어쨌든 불행하게도 아직 이 '하면 안된다고 생각했던 두번째 이유' 에 대한 만족할 만한 대답이나 해결책은 찾지 못했다.
물론 개인적으로 한국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대형프로젝트들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지도 않고
그걸 다루기 위해 많은 인원으로 이루어진(특히나 상하가 꽤나 엄격한)조직에서 일을 하고 싶은
생각도 별로 없지만, 내가 다루어보지 못한 큰 규모의 프로젝트를 해보는 것에 대한
일종의 미련은 갖고 있다.
분명 내가 모르는, 경험해 보지 못한, 내가 했던 것과는 다른 규모와 접근방식을 요구하는 디자인이
있을 거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아마도 이 문제는 한국의 대형사무소에서, 주로 대규모 프로젝트만을 다뤄온 J 에게서 이에 대한 의견을
들을 수 있다면 좀더 나은, 명쾌한 얘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어쨌든 그래서 내가 이 시점에 이 문제에 대해 생각하고 있는 해결책들은
조금 막연하고 형태가 없다
다만 아마도 사무소의 형태나 성격을 다른 집단, 혹은 개인과 어떤식으로든, 언제든 함께 의견을
나누고 함께 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을 수 있도록 유연하게 유지하는 것과
현재 우리가 알고있는, 이미 자리를 잡으신, 비교적 큰 규모를 다룰 위치에 계신 건축가 분들과
기회가 되는데로 함께 프로젝트를 하는 것 등등이 해결책이 되지 않을까 싶다.
(물론 이건 어디까지나 아직은 김치국물 마시는 얘기다)
이 해결책들은 우리가 앞으로 최소 1년여의 시간동안 여러가지 방법을 시도해 보고 찾아본 후에
그 결과를 가지고 1년후쯤에 다시금 얘기를 할 계획이다
어쨌든 이 문제는 J 와, 더 넒게는 주변의 선배님, 교수님, 소장님들과 더 논의가 되어야하는 부분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고, 또한 건축가로 살아가며 평생을 고민해야 하는 부분이 아닐까 하고 생각한다.
111207 한국가는 비행기 안에서 Y
'Text_독립건축가 생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가로 독립하기 : 1장 '준비'_ ANM Studio의 김희준 소장님을 만나다 | -11주 (0) | 2011.12.21 |
---|---|
건축가로 독립하기 : 1장 '준비'_씨앗 뿌리기와 동업을 위한 조건들 | -11주 (2) | 2011.12.20 |
건축가로 독립하기 : 1장 '준비'_ 결심하기 | -13주 (0) | 2011.12.07 |
건축가로 독립하기 : 1장 '준비'_ 결심하기 | -14주 (0) | 2011.11.29 |
건축가로 독립하기 : 1장 '준비'_ 결심하기 | -15주 (0) | 2011.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