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이 시점에 독립을 결심하는가...

왜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한번에 한자리에서 써 내려가기에는 많은 감정들이 교차하기에 제목에 다시 (1)을 붙였다.
지금 여기서 다 못한 말은 언젠가 채울 수 있으리라 보고서...

...나도 내 건축을 하고 싶다...


#1. 소모되고, 버려지는 나의 그림

작업을 하면서 하나의 최적의 설계안을 만들어내는 것은 어디든 마찬가지 일테지만,
내 생각을 담아 표현하고 그려낸 나의 그림이 너무나 쉽게 평가되고, 별거 아닌 어쩌면 어디서 베꼈겠거니 하고
치부해버리는 그런 상황들 속에서 내 머리는 이미 둔감해질대로 둔감해진줄 알았다.
하지만, 언제부턴가 그 그림들이 계속 눈에 밟힌다.
한번에 내가 보여줄수 있는 모든 것을 보여주지도 못했고, 그럴 실력을 갖추지 못했을 수도 있지만,
그냥 수많은 그림중의 아무것도 아닌 버려지는 그림으로 남기에는 
가슴이 너무 아프다.


#2. 낯이 화끈거리다

후배의 소개로 고등학교에 무료로 배포되는 잡지에 직업을 소개하는 꼭지에 건축설계에 대한 이야기를 할 기회가 있었다.
간단한 인터뷰전 나의 프로필을 묻는다.
대표할 수 있는 작업이 무어냐?
띵...
(할말 없음)
없는데요...
뭐라도 불러주세요...
얘기할수는 있지만, 그걸 제가 했다고 할 수는 없고요.
결국 프로필에 작업란은 공란으로 처리되었을 거다.
전화를 끊고서, 한숨.
나 지금 여기서 뭐하고 있는거냐...


#3. 자존감

사내 직무만족도 조사에서 설계부서에서 가장 낮은 점수가 나오는 것은, 
설계부서의 직원들의 성향 또는 희망을 대형사무소의 이윤을 내기 위한 조직구조와 상충되기 때문이리라 본다.
나도 별반 차이 없는지라, 
오히려 나는 나의 자존감 회복을 외부에서 찾고자 했다.
내 비록 회사에서는 이렇더라도, 내 작은 힘을 필요로 하는 무엇을 있을거다 하고.
가령... 사회봉사(?) 개념에서 출발한
그 '일'이
시발점이 되어 여기에 이 글을 쓰고 있다. 


#4. 30년중 5년정도면 

한번만이라도 내 작업을 할 수 있다면,,, 하고 머릿속에 맴돌던 아쉬움들.
앞으로 30년간 건축을 할거면,
5년정도 일탈을 해도 별 탈 없지 않을까? ㅎㅎ
나에게 5년이라는 시간의 기회를 주시오,, 와잎~


111120 J







 
시작하기에 앞서..

자잘한 이야기들을 연재해 보고자 한다.
이는 우리의 지난 몇달간의 치열하고 처절했던 고민과 결정에 대한 이야기이고
앞으로 적어도 1년이상을 이어질 더 치열하고 한편 흥미진진할 이야기들에 대한 글이 될것이다.
그 목적은,
첫번째는 우리의 건축가로서의 인생에서 어쩌면 가장 중요한 한 시기가 될지 모르는 지금 이순간에 대한 기록이 될것이며
두번째는 이 글을 통해 우리가 이루어마지 않을 거라고 확신하는 그 어떤 목표가 다른 건축하는 분들에게도
전달되고 자극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이다.

우리는 독립을 준비하고있다. 대학을 졸업한지 5년만이고 우리는 이제 30대 초반이 되었다.
....


이 한 문장을 쓰고나서 한참동안 글을 잇지 못했다.
저 문장 다음엔 반드시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는 말로 시작하는 어떤 문장을 써야될거 같은 기분을 느꼈고
그러한 문장이 역시나 생각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독립을 준비하면서 나는 저 객관적 사실에서 비롯된 수많은 걱정섞인 질문을 받아야만 했다.
모두가 머리속에 떠올리 수 있을만한 그런 걱정들이었다.
따라서 왠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러한 이유로 독립한다 라는 어떤 객관적이고 납득할만한 이유가 있어야만 할것 같았다.
이러한 자기방어적이며 동시에 상대를 납득시킬만한 이유가 없으니
나 스스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는 조사에서 벗어나기가 쉽지 않았다.
나는 대체 멀 믿고 독립을 하려는지 고민되는 날이 계속되었다.

하지만 저 문장은 절대로 완성되지 않는 문장이란걸 알았다
물론 그런사람이 있을수도 있지만 우리에게, 아니 대다수의 젊은 건축인에게 저 문장은 절대로 완성될 수 없는 문장이다.

따라서 건축가로서 독립하기 위해선 남을 설득시킬 수 있는 어떤 문장이 필요한게 아니라,
나 자신을 확신시킬만한 문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여기서부터 나는 진정으로 독립을 위한 과정이 시작되었다고 생각한다.
즉, 내가 왜 독립을 하고싶은지부터 찾아야 한다.
이는 다시 말하면 내가 건축가로서 살고싶은 삶이 어떤 삶인지 생각을 해봐야 한다는 것이다.

자 어떤가.
이 질문이 유치하다고 생각될수도 있다.
너무 순진해 보일수도 있다.
하지만 그 시작이, 그 의도부터가 순진하지 않다면 그 길은 끝까지 못가는 길이라고 믿는다.

이 유치하면서 순진한 질문에 대한 나의 이야기는 다음글에 이어서 쓰도록 하겠다.
왜냐하면.... 내일 출근해야 되니까..

111115 Y

JYA had been designing to suggest new housing type
which will be much more improved, cheaper and attractive in terms of living quality and out looking as well
to Hebitat since last june 2011.
But finally we stopped to try to change housing of Hebitat and explore best housing type for called-social workers in Korea.
It was highly meaningful work not only the aspect of design but also the aspect of business structure to provide housing in reality to social class who can not solve housing problem by themselves in Korea housing market system.  

Even thought we achieved remarkable progresses, it was stopped by   .

Anyway it will be updated through our website which will be lunched soon with other old projects of us.

I strongly hope it will be developed more concretely from now on and become starting point of diverse and extensive discussion on housing culture which can make us re-thinking the meaning of housing.

+ Recent posts